1번부터 N번까지 N명의 사람이 원을 이루면서 앉아있고, 양의 정수 K(<=N)가 주어진다. 이제 순서대로 K번째 사람을 제거한다. 한 사람이 제거되면 남은 사람들로 이루어진 원을 따라 이 과정을 계속해 나간다. 이 과정은 N명의 사람이 모두 제거될 때까지 계속된다. 원에서 사람들이 제거되는 순서를 (N,K)-조세퍼스 순열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7,3)-조세퍼스 순열은 <3, 6, 2, 7, 5, 1, 4> 이다.
N과 K가 주어지면 (N, K)-조세퍼스 순열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과 K가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순서대로 주어진다. (1<=K<=N<=1,000)
출력:
예제와 같이 조세퍼스 순열을 출력한다.
풀이 방법:
값을 빼기 전에 미리 idx를 저장을 해두는 것이 중요하다. 값을 먼저 빼버리면 다음 순환 반복을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빼준 다음에는 idx 를 1 감소해서 인덱스가 하나 줄었음을 나타낸다. 또한 값을 뺄 당시에 출력 예시와 동일하게 만들어야 하므로 끝 값에만 따로 케이스를 분류를 해두었다.
이 문제는 태그가 큐로 되어 있었는데 아마도 순환 큐를 이용해서 풀어야 하는 문제인 것 같다.
하드디스크는 한 번에 하나의 작업만 수행할 수 있습니다. 디스크 컨트롤러를 구현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요청이 들어온 순서대로 처리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0ms 시점에 3ms가 소요되는 A작업 요청
1ms 시점에 9ms가 소요되는 B작업 요청
2ms 시점에 6ms가 소요되는 C작업 요청
과 같이 요청이 들어왔습니다. 한 번에 하나의 요청만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작업을 요청받은 순서대로 처리하면 다음과 같이 처리 됩니다.
A: 3ms 시점에 작업 완료 (요청에서 종료까지 : 3ms)
B: 1ms부터 대기하다가, 3ms 시점에 작업을 시작해서 12ms 시점에 작업 완료(요청에서 종료까지 : 11ms)
C: 2ms부터 대기하다가, 12ms 시점에 작업을 시작해서 18ms 시점에 작업 완료(요청에서 종료까지 : 16ms)
이 때 각 작업의 요청부터 종료까지 걸린 시간의 평균은 10ms(=(3+11+16)/3)가 됩니다.
하지만 A->C->B 순서대로 처리하면
A: 3ms 시점에 작업 완료 (요청에서 종료까지 : 3ms)
C: 2ms부터 대기하다가, 3ms 시점에 작업을 시작해서 9ms 시점에 작업 완료(요청에서 종료까지 : 7ms)
B: 2ms부터 대기하다가, 9ms 시점에 작업을 시작해서 18ms 시점에 작업 완료(요청에서 종료까지 : 17ms)
이렇게 A->C->B의 순서로 처리하면 각 작업의 요청부터 종료까지 걸린 시간의 평균은 9ms(=(3+7+17)/3)가 됩니다.
각 작업에 대해 [작업이 요청되는 시점, 작업의 소요시간]을 담은 2차원 배열 job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작업의 요청부터 종료까지 걸린 시간의 평균을 가장 줄이는 방법으로 처리하면 평균이 얼마나 되는지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단, 소주점 이하의 수는 버립니다)
풀이 방법:
위에서 처음 소개한 방법은 FCFS 방법으로 먼저 들어오는 작업을 먼저 수행하는 것으로 긴 작업이 먼저 들어올 경우 뒤에 들어온 작업들이 수행하기까지 많은 시간을 대기하기 때문에 평균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후자의 방법인 SJF를 사용하는 것이다. 즉 짧은 요청을 먼저 수행하는 것이다. 별도의 정렬이 없어도 작은 값을 반환해줄 수 있는 힙 구조를 사용해서 이 문제를 풀어야 한다.
last와 now라는 두 변수를 사용해서 하나의 작업이 들어간 시점과 나오는 시점을 구분해준다. 또한 이 두 변수를 이용해 구간을 구성하고 이 구간 사이에 있는 jobs들을 heap에 담도록 한다. heap에 담기전에 now에서 그 작업이 들어온 시점부터까지의 시간을 계산해서 더해준다.
'C와 B의 작업은 A가 수행되고 있는 도중에 들어오게 되었으며, A가 끝나는 시점인 3ms 까지 각각 1ms, 2ms를 대기한다.'
또한 len(wait)와 wait[0]을 곱한 값을 더하기도 한다. 이 말은 다음과 같다.
'C가 수행되는 동안에 B가 이미 들어와 있어서 같이 대기를 해야 한다. 즉 C의 수행시간인 6ms 만큼 B가 대기하고 있다. 총 12ms 만큼 시간이 더해져야 한다.'
와 같은 말이다.
count 변수를 만들어서 이 변수가 jobs의 길이와 같이 지는 순간까지 반복하면 각 작업들이 총 수행되는 시간을 알 수 있고 이를 jobs의 길이로 나누어 준 몫을 구하면 평균을 구할 수 있다.
올림픽은 참가에 의의가 있기에 공식적으로는 국가간 순위를 정하지 않는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국가가 얼마나 잘 하는지에 관심이 많기 때문에 비공식적으로는 국가간 순위를 정하고 있다. 두 나라가 각각 얻은 금, 은, 동메달 수가 주어지면, 보통 다음 규칙을 따라 어느 나라가 더 잘 했는지 결정한다.
1. 금메달 수가 더 많은 나라
2. 금메달 수가 같으면, 은메달 수가 더 많은 나라
3. 금, 은메달 수가 모두 같으면, 동메달 수가 더 많은 나라
각 국가는 1부터 N 사이의 정수로 표현한다. 한 국가의 등수는 (자신보다 더 잘한 나라 수) + 1로 정의된다. 만약 두 나라가 금, 은, 동메달 수가 모두 같다면 두 나라의 등수는 같다. 예를 들어, 1번 국가가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를 얻었고, 2번 국가와 3번 국가가 모두 은메달 1개를 얻었으며, 4번 국가는 메달을 얻지 못하였다면, 1번 국가가 1등, 2번 국가와 3번 국가가 공동 2등, 4번 국가가 4등이 된다. 이 경우 3등은 없다.
각 국가의 금, 은, 동메달 정보를 입력받아서, 어느 국가가 몇 등을 했는지 알려주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입력의 첫 줄은 국가의 수 N(1<=N<=1,000)과 등수를 알고 싶은 국가 K(1<=K<=N)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각 국가는 1부터 N 사이의 정수로 표현된다. 이후 N개의 각 줄에는 차례대로 각 국가를 나타내는 정수와 이 국가가 얻은 금, 은, 동메달의 수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전체 메달 수의 총합은 1,000,000 이하이다.
출력:
출력은 단 한 줄이며, 입력받은 국가 K의 등수를 하나의 정수로 출력한다. 등수는 반드시 문제에서 정의된 방식을 따라야 한다.
풀이 방법:
입력을 받는 값을 다 유지를 해야 하고,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가중치 순으로 정렬을 해줘야 한다. 정렬을 하기 전에 원하는 나라의 정보를 미리 temp에 저장을 해둔다. 가중치에 따라 정렬을 하고 temp에 저장해둔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과 같은 값을 찾을 때까지(공동 순위가 존재하므로 꼭 temp의 나라가 아니라도 괜찮다.) count를 증가시킨다. 이후 같은 값을 만나면 count를 출력하고 종료한다.
M과 N이 주어질 때 M이상 N이하의 자연수 중 완전제곱수인 것을 모두 골라 그 합을 구하고 그 중 최솟값을 찾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M=60, N=100인 경우 60이상 100이하의 자연수 중 완전제곱수는 64, 81, 100 이렇게 총 3개가 있으므로 그 합은 245가 되고 이 중 최솟값은 64가 된다.
입력:
첫째 줄에 M이, 둘째 줄에 N이 주어진다. M과 N은 10,000이하의 자연수이며 M은 N보다 같거나 작다.
출력:
M이상 N이하의 자연수 중 완전제곱수인 겻을 모두 찾아 첫째 줄에 그 합을, 둘째 줄에 그 중 최솟값을 출력한다. 단, M이상 N이하의 자연수 중 완전제곱수가 없을 경우는 첫째 줄에 -1을 출력한다.
풀이 방법:
math의 sqrt를 사용해서 풀어야 하는 문제이다. 첫 숫자 M의 sqrt를 구한 후 floor함수를 써서 lower_bound 값을 구하고, N에 sqrt를 구한 후 ceil 함수를 써서 upper_bound를 구한다. 이 구간을 반복문을 돌리면서 합을 구한 뒤에 더해진 answer 값이 없다면 -1을 출력하고 더해진 값이 있다면 upper_bound의 제곱수 값을 출력다.
효주는 포도주 시식회에 갔다. 그 곳에 갔더니, 테이블 위에 다양한 포도주가 들어있는 포도주 잔이 일렬로 놓여 있었다. 효주는 포도주 시식을 하려고 하는데,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규칙이 있다.
1. 포도주 잔을 선택하면 그 잔에 들어있는 포도주는 모두 마셔야 하고, 마신 후에는 원래 위치에 다시 놓아야 한다.
2. 연속으로 놓여 있는 3잔을 모두 마실 수는 없다.
효주는 될 수 있는 대로 많은 양의 포도주를 맛보기 위해서 어떤 포도주 잔을 선택해야 할지 고민하고 있다. 1부터 n까지의 번호가 붙어 있는 n개의 포도주 잔이 순서대로 테이블 위에 놓여 있고, 각 포도주 잔에 들어있는 포도주의 양이 주어졌을 때, 효주를 도와 가장 많은 양의 포도주를 마실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6개의 포도주 잔이 있고, 각각의 잔에 순서대로 6, 10, 13, 9, 8, 1만큼의 포도주가 들어 있을 때, 첫 번째, 두 번째, 네 번째, 다섯 번째 포도주 잔을 선택하면 총 포도주 양이 33으로 최대로 마실 수 있다.
입력:
첫째 줄에 포도주 잔의 개수 n이 주어진다. (1<=n<=10,000) 둘째 줄부터 n+1번째 줄까지 포도주 잔에 들어있는 포도주의 양이 순서대로 주어진다. 포도주의 양은 1,000 이하의 음이 아닌 정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최대로 마실 수 있는 포도주의 양을 출력한다.
풀이 방법:
동적계획법을 사용해서 최댓값을 찾아내야 한다. 일단 크게 두 가지 경우로 나눌 수 있다. 3이상 n 이하의 수 i에 대해서 i를 선택하는 경우와 선택하지 않는 경우이다.
i) i번째 값을 선택하고자 할 때
i번째 값을 선택하고자 하면 다시 두 개의 경우로 나눌 수 있다.
0x00 , ?0x0
전자는 i번째와 i번째를 연속해서 고르는 경우, 후자는 그렇지 않은 경우이다. 전자의 경우에는 i번째와 i번째를 더하고 거기에 dp[i-3]번째 값을 더하고, 후자의 경우에는 i번째 값에 dp[i-2]를 더하는 경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