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문제:

다솜이는 0과 1로만 이루어진 문자열 S를 가지고 있다. 다솜이는 이 문자열 S에 있는 모든 숫자를 전부 같게 만들려고 한다. 다솜이가 할 수 있는 행동은 S에서 연속된 하나 이상의 숫자를 잡고 모두 뒤집는 것이다. 뒤집는 것은 1을 0으로, 0을 1로 바꾸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S=0001100 일 때,

  1. 전체를 뒤집으면 1110011이 된다.
  2. 4번째 문자부터 5번째 문자까지 뒤집으면 1111111이 되어서 2번 만에 모두 같은 숫자로 만들 수 있다.

하지만, 처음부터 4번째 문자부터 5번째 문자까지 문자를 뒤집으면 한 번에 0000000이 되어서 1번 만에 모두 같은 숫자로 만들 수 있다.

문자열 S가 주어졌을 때, 다솜이가 해야하는 행동의 최소 횟수를 출력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문자열 S가 주어진다. S의 길이는 100만보다 작다.

출력:

첫째 줄에 다솜이가 해야하는 행동의 최소 횟수를 출력한다.

풀이방법:

 앞에서부터 하나씩 비교해보면서 숫자가 달라지는 횟수를 측정하고 더 작은 변경으로 선택하면 된다. 비교를 할 때, 길이-1의 값까지만 측정했기 때문에 맨 마지막 값의 count도 더해주도록 한다. 만약 하지 않는다면, 10010과 같은 케이스일 때,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from collections import defaultdict
= input()
count = defaultdict(int)
for i in range(1,len(S)):
    if S[i]!=S[i-1]:
        count[S[i-1]]+=1
count[S[-1]]+=1
 
if len(count)!=1:
    print(sorted(count.items(), key = lambda x: x[1])[0][1])
else:
    print(0)
cs

문제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1439

 

1439번: 뒤집기

다솜이는 0과 1로만 이루어진 문자열 S를 가지고 있다. 다솜이는 이 문자열 S에 있는 모든 숫자를 전부 같게 만들려고 한다. 다솜이가 할 수 있는 행동은 S에서 연속된 하나 이상의 숫자를 잡고 모

www.acmicpc.net

 

728x90
반응형

'Algorithm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2628. 종이자르기  (0) 2022.04.07
[BOJ]9205. 맥주 마시면서 걸어가기  (0) 2022.04.05
[BOJ]2023. 신기한 소수  (0) 2022.03.29
[BOJ]1052. 물병  (0) 2022.03.24
[BOJ]1004. 어린 왕자  (0) 2022.03.22
728x90
반응형

문제:

수빈이가 세상에서 가장 좋아하는 것은 소수이고, 취미는 소수를 가지고 노는 것이다. 요즘 수빈이가 가장 관심있어 하는 소수는 7331이다.

7331은 소수인데, 신기하게도 733도 소수이고, 73도 소수이고, 7도 소수이다. 즉, 왼쪽부터 1자리, 2자리, 3자리, 4자리 수 모두 소수이다! 수빈이는 이런 숫자를 신기한 소수라고 이름 붙였다.

수빈이는 N자리의 숫자 중에서 어떤 수들이 신기한 소수인지 궁금해졌다. N이 주어졌을 때, 수빈이를 위해 N자리 신기한 소수를 모두 찾아보자.

입력:

첫째 줄에 N(1 ≤ N ≤ 8)이 주어진다.

출력:

N자리 수 중에서 신기한 소수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해서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

풀이방법:

 보통 일반적인 소수 문제의 경우에는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를 사용해서 소수인 수들을 모두 찾고 하는 것이 빠른 경우가 많으나, 이 문제의 경우에는 N = 8 인 경우에 수가 엄청 커지게 되고,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된다.

 따라서 이 문제의 경우에는 dfs를 사용해서 한자리씩 붙여 나가면서 소수를 판정하는 방식을 사용하도록 한다. 문제의 특징으로 인해 75가 소수가 아니므로, 그 뒤는 판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dfs의 종료 조건은 숫자의 길이가 N이 될 때까지 진행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def check_prime(n):
    if n==1 or n==0:
        return 0
    for i in range(2int(n**0.5)+1):
        if n%i==0:
            return 0
    return 1
 
def dfs(number, length):
    if length==n:
        print(number)
        return
    for i in range(10):
        tmp = number+str(i)
        if check_prime(int(tmp)):
            dfs(tmp,length+1)
    
 
= int(input())
 
dfs('',0)
cs

문제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2023

 

2023번: 신기한 소수

수빈이가 세상에서 가장 좋아하는 것은 소수이고, 취미는 소수를 가지고 노는 것이다. 요즘 수빈이가 가장 관심있어 하는 소수는 7331이다. 7331은 소수인데, 신기하게도 733도 소수이고, 73도 소수

www.acmicpc.net

 

728x90
반응형

'Algorithm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9205. 맥주 마시면서 걸어가기  (0) 2022.04.05
[BOJ]1439. 뒤집기  (0) 2022.03.31
[BOJ]1052. 물병  (0) 2022.03.24
[BOJ]1004. 어린 왕자  (0) 2022.03.22
[BOJ]2252. 줄 세우기  (0) 2022.03.17
728x90
반응형

문제:

지민이는 N개의 물병을 가지고 있다. 각 물병에는 물을 무한대로 부을 수 있다. 처음에 모든 물병에는 물이 1리터씩 들어있다. 지민이는 이 물병을 또 다른 장소로 옮기려고 한다. 지민이는 한 번에 K개의 물병을 옮길 수 있다. 하지만, 지민이는 물을 낭비하기는 싫고, 이동을 한 번보다 많이 하기는 싫다. 따라서, 지민이는 물병의 물을 적절히 재분배해서, K개를 넘지 않는 비어있지 않은 물병을 만들려고 한다.

물은 다음과 같이 재분배 한다.

먼저 같은 양의 물이 들어있는 물병 두 개를 고른다. 그 다음에 한 개의 물병에 다른 한 쪽에 있는 물을 모두 붓는다. 이 방법을 필요한 만큼 계속 한다.

이런 제약 때문에, N개로 K개를 넘지않는 비어있지 않은 물병을 만드는 것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다행히도, 새로운 물병을 살 수 있다. 상점에서 사는 물병은 물이 1리터 들어있다.

예를 들어, N=3이고, K=1일 때를 보면, 물병 3개로 1개를 만드는 것이 불가능하다. 한 병을 또다른 병에 부으면, 2리터가 들어있는 물병 하나와, 1리터가 들어있는 물병 하나가 남는다. 만약 상점에서 한 개의 물병을 산다면, 2리터가 들어있는 물병 두 개를 만들 수 있고, 마지막으로 4리터가 들어있는 물병 한 개를 만들 수 있다.

입력:

첫째 줄에 N과 K가 주어진다. N은 107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고, K는 1,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상점에서 사야하는 물병의 최솟값을 출력한다. 만약 정답이 없을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풀이방법:

 처음에 모든 물병에 물이 1리터씩 들어있고, 이를 한 물병에 합치는 과정을 하는 과정은 이진수를 더하는 것과 같다. 예를 들어, N=3, K=1일 때를 보면, 물병이 3개가 있다는 것은 이진수로 보면 11(3)과 같고, 실제로 2리터가 들어있는 물병 하나와, 1리터가 들어있는 물병 하나가 남아있다. 만약 상점에서 한 개의 물병을 산다면, 4리터가 들어있는 물병 한 개를 만들 수 있다. (11+1 =100) 

 즉, 이 문제는 주어진 N을 2진수로 변경한 뒤에 1씩 더하면서, 더한 값의 이진수 값에 1의 값이 K개 있을 때까지 반복하여 더해주면 된다.

1
2
3
4
5
6
7
N, K = map(int,input().split())
 
answer = 0
while bin(N).count('1'> K:
    N += 1
    answer += 1
print(answer)
cs

문제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1052

 

1052번: 물병

지민이는 N개의 물병을 가지고 있다. 각 물병에는 물을 무한대로 부을 수 있다. 처음에 모든 물병에는 물이 1리터씩 들어있다. 지민이는 이 물병을 또 다른 장소로 옮기려고 한다. 지민이는 한 번

www.acmicpc.net

 

728x90
반응형

'Algorithm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1439. 뒤집기  (0) 2022.03.31
[BOJ]2023. 신기한 소수  (0) 2022.03.29
[BOJ]1004. 어린 왕자  (0) 2022.03.22
[BOJ]2252. 줄 세우기  (0) 2022.03.17
[BOJ]1063. 킹  (0) 2022.03.15
728x90
반응형

문제:

어린 왕자는 소혹성 B-664에서 자신이 사랑하는 한 송이 장미를 위해 살아간다. 어느 날 장미가 위험에 빠지게 된 것을 알게 된 어린 왕자는, 장미를 구하기 위해 은하수를 따라 긴 여행을 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어린 왕자의 우주선은 그렇게 좋지 않아서 행성계 간의 이동을 최대한 피해서 여행해야 한다. 아래의 그림은 어린 왕자가 펼쳐본 은하수 지도의 일부이다.

빨간 실선은 어린 왕자가 출발점에서 도착점까지 도달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행성계 진입/이탈 횟수를 최소화하는 경로이며, 원은 행성계의 경계를 의미한다. 이러한 경로는 여러 개 존재할 수 있지만 적어도 3번의 행성계 진입/이탈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은 은하수 지도, 출발점, 도착점이 주어졌을 때 어린 왕자에게 필요한 최소의 행성계 진입/이탈 횟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 보자. 행성계의 경계가 맞닿거나 서로 교차하는 경우는 없다. 또한, 출발점이나 도착점이 행성계 경계에 걸쳐진 경우 역시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는다.

입력:

입력의 첫 줄에는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그 다음 줄부터 각각의 테스트케이스에 대해 첫째 줄에 출발점 (x1, y1)과 도착점 (x2, y2)이 주어진다. 두 번째 줄에는 행성계의 개수 n이 주어지며, 세 번째 줄부터 n줄에 걸쳐 행성계의 중점과 반지름 (cx, cy, r)이 주어진다.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 어린 왕자가 거쳐야 할 최소의 행성계 진입/이탈 횟수를 출력한다.

풀이방법:

 시작점, 도착점과 입력으로 들어온 원의 중심과 거리를 비교하여 원 안에 있는지 밖에 있는지 확인한다. 원의 반지름과 각 거리를 비교했을 때, 각 경우의 수는 다음을 의미한다.

  • 각 거리들이 반지름 r보다 클 때, 원의 밖에 있는 것을 의미하고, 반지름 r 보다 작다면, 원의 안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 따라서 둘 다 밖에 있거나 안에 있다면 행성계 진입/이탈이 필요하지 않다.
    • 둘 중 한 거리만 안에 있다면 이 때는 행성계 진입/이탈이 필요하므로 이 경우의 수에 대해서만 count 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int(input())
for _ in range(T):
    x1, y1, x2, y2 = map(int, input().split())
 
    answer = 0
    n = int(input())
    for _ in range(n):
        cx, cy, r = map(int,input().split())
        start_d = ((x1-cx)**2 + (y1-cy)**2)**0.5
        end_d = ((x2-cx)**2 + (y2-cy)**2)**0.5
 
        if start_d < r and end_d < r:
            pass
        elif start_d < r:
            answer += 1
        elif end_d < r:
            answer += 1
    print(answer)
cs

문제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1004

 

1004번: 어린 왕자

입력의 첫 줄에는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그 다음 줄부터 각각의 테스트케이스에 대해 첫째 줄에 출발점 (x1, y1)과 도착점 (x2, y2)이 주어진다. 두 번째 줄에는 행성계의 개수 n이 주

www.acmicpc.net

 

728x90
반응형

'Algorithm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2023. 신기한 소수  (0) 2022.03.29
[BOJ]1052. 물병  (0) 2022.03.24
[BOJ]2252. 줄 세우기  (0) 2022.03.17
[BOJ]1063. 킹  (0) 2022.03.15
[BOJ]2195. 문자열 복사  (0) 2022.03.10
728x90
반응형

문제:

N명의 학생들을 키 순서대로 줄을 세우려고 한다. 각 학생의 키를 직접 재서 정렬하면 간단하겠지만, 마땅한 방법이 없어서 두 학생의 키를 비교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로 하였다. 그나마도 모든 학생들을 다 비교해 본 것이 아니고, 일부 학생들의 키만을 비교해 보았다.

일부 학생들의 키를 비교한 결과가 주어졌을 때, 줄을 세우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1 ≤ N ≤ 32,000), M(1 ≤ M ≤ 100,000)이 주어진다. M은 키를 비교한 회수이다. 다음 M개의 줄에는 키를 비교한 두 학생의 번호 A, B가 주어진다. 이는 학생 A가 학생 B의 앞에 서야 한다는 의미이다.

학생들의 번호는 1번부터 N번이다.

출력:

첫째 줄에 학생들을 키 순서대로 줄을 세운 결과를 출력한다. 답이 여러 가지인 경우에는 아무거나 출력한다.

풀이방법:

 사이클이 존재하지 않고, 방향이 존재하는 그래프 상에서의 정렬을 해야 하는 문제이기 때문에 위상정렬을 사용해서 이 문제를 푼다. 

 위상정렬의 기본 알고리즘 진행은 다음과 같다.

 

1. 각 입력으로 들어온 값들을 그래프 형태로 저장한다. 이와 동시에 in_degree라는 간선이 연결된 갯수를 저장하는 배열도 같이 초기화 시킨다.

2. 모든 입력을 마친 뒤, in_degree가 0인 것부터 queue(deque)에 입력해 준다.

3. queue에서 값을 하나씩 빼면서 나온 노드들이 정렬된 것이며, 해당 노드와 연결되어 있는 선을 하나씩 제거한다.

3-1. 이 때, in_degree 값이 0이 된다면 queue에 넣는다.

4. 위 과정을 queue가 비어 있을 때까지 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nput = sys.stdin.readline
N, M = map(int,input().split())
in_degree=[0]*(N+1)
graph = [[] for _ in range(N+1)]
queue = deque()
 
for _ in range(M):
    a,b = map(int, input().split())
    graph[a].append(b)
    in_degree[b]+=1
    
for i in range(1, N+1):
    if in_degree[i]==0:
        queue.append(i)
 
answer = []
while queue:
    now = queue.popleft()
    for i in graph[now]:
        in_degree[i] -=1
        if in_degree[i] == 0:
            queue.append(i)
    answer.append(now)
    
print(*answer)
cs

문제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2252

 

2252번: 줄 세우기

첫째 줄에 N(1 ≤ N ≤ 32,000), M(1 ≤ M ≤ 100,000)이 주어진다. M은 키를 비교한 회수이다. 다음 M개의 줄에는 키를 비교한 두 학생의 번호 A, B가 주어진다. 이는 학생 A가 학생 B의 앞에 서야 한다는 의

www.acmicpc.net

 

728x90
반응형

'Algorithm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1052. 물병  (0) 2022.03.24
[BOJ]1004. 어린 왕자  (0) 2022.03.22
[BOJ]1063. 킹  (0) 2022.03.15
[BOJ]2195. 문자열 복사  (0) 2022.03.10
[BOJ]2212. 센서  (0) 2022.03.08
728x90
반응형

문제:

8*8크기의 체스판에 왕이 하나 있다. 킹의 현재 위치가 주어진다. 체스판에서 말의 위치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알파벳 하나와 숫자 하나로 이루어져 있는데, 알파벳은 열을 상징하고, 숫자는 행을 상징한다. 열은 가장 왼쪽 열이 A이고, 가장 오른쪽 열이 H까지 이고, 행은 가장 아래가 1이고 가장 위가 8이다. 예를 들어, 왼쪽 아래 코너는 A1이고, 그 오른쪽 칸은 B1이다.

킹은 다음과 같이 움직일 수 있다.

  • R : 한 칸 오른쪽으로
  • L : 한 칸 왼쪽으로
  • B : 한 칸 아래로
  • T : 한 칸 위로
  • RT : 오른쪽 위 대각선으로
  • LT : 왼쪽 위 대각선으로
  • RB : 오른쪽 아래 대각선으로
  • LB : 왼쪽 아래 대각선으로

체스판에는 돌이 하나 있는데, 돌과 같은 곳으로 이동할 때는, 돌을 킹이 움직인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한 칸 이동시킨다. 아래 그림을 참고하자.

입력으로 킹이 어떻게 움직여야 하는지 주어진다. 입력으로 주어진 대로 움직여서 킹이나 돌이 체스판 밖으로 나갈 경우에는 그 이동은 건너 뛰고 다음 이동을 한다.

킹과 돌의 마지막 위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킹의 위치, 돌의 위치, 움직이는 횟수 N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킹이 어떻게 움직여야 하는지 주어진다. N은 5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고, 움직이는 정보는 위에 쓰여 있는 8가지 중 하나이다.

출력:

첫째 줄에 킹의 마지막 위치, 둘째 줄에 돌의 마지막 위치를 출력한다.

풀이방법:

주어진 조건대로 구현을 하는 문제다. 이 문제에서는 크게 두 가지 조건이 있다.

 

1. 체스판 밖으로 나가는 경우에는 해당 이동을 건너 뛴다.

2. 킹이 이동하는 위치에 돌이 있다면 돌도 킹이 이동하는 방향과 같이 이동한다.

 

이 때, 1에 대한 조건은 킹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돌에도 적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킹을 움직였을 때, 돌이 있다면 돌을 이동시켜보고, 만약 체스판 밖으로 나간다면 킹을 다시 원래 자리로 되돌려야 한다. 해당 조건을 고려하여 command들을 구현하면 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def check_stone(k,s):
    if k==s:
        return 1
    else:
        return 0
king, stone, N = input().split()
x1,y1 = ord(king[0])-65int(king[1])-1
x2,y2 = ord(stone[0])-65int(stone[1])-1
size = 8
for _ in range(int(N)):
    command = input()
    if command =='R':
        if 0<= x1+1 < size:
            x1+=1
            if check_stone((x1,y1),(x2,y2)):
                if 0<= x2+1 < size:
                    x2+=1
                else:
                    x1-=1
    elif command =='L':
        if 0<= x1-1 < size:
            x1-=1
            if check_stone((x1,y1),(x2,y2)):
                if 0<= x2-1 < size:
                    x2-=1
                else:
                    x1+=1
    elif command =='B':
        if 0<= y1-1 < size:
            y1-=1
            if check_stone((x1,y1),(x2,y2)):
                if 0<= y2-1 < size:
                    y2-=1
                else:
                    y1+=1
    elif command =='T':
        if 0<= y1+1 < size:
            y1+=1
            if check_stone((x1,y1),(x2,y2)):
                if 0<= y2+1 < size:
                    y2+=1
                else:
                    y1-=1
    elif command =='RT':
        if 0<= x1+1 < size and 0<=y1+1<size:
            x1+=1
            y1+=1
            if check_stone((x1,y1),(x2,y2)):
                if 0<= x2+1 < size and 0<= y2+1 < size:
                    x2+=1
                    y2+=1
                else:
                    x1-=1
                    y1-=1
    elif command =='LT':
        if 0<= x1-1 < size and 0<=y1+1 < size:
            x1-=1
            y1+=1
            if check_stone((x1,y1),(x2,y2)):
                if 0<= x2-1 < size and 0<=y2+1<size:
                    x2-=1
                    y2+=1
                else:
                    x1+=1
                    y1-=1
    elif command =='RB':
        if 0<= x1+1 < size and 0<=y1-1<size:
            x1+=1
            y1-=1
            if check_stone((x1,y1),(x2,y2)):
                if 0<= x2+1 < size and 0<=y2-1<size:
                    x2+=1
                    y2-=1
                else:
                    x1-=1
                    y1+=1
    elif command =='LB':
        if 0<= x1-1 < size and 0<=y1-1<size:
            x1-=1
            y1-=1
            if check_stone((x1,y1),(x2,y2)):
                if 0<= x2-1 < size and 0<= y2-1<size:
                    x2-=1
                    y2-=1
                else:
                    x1+=1
                    y1+=1
print("{}{}".format(chr(x1+65), y1+1))
print("{}{}".format(chr(x2+65), y2+1))
cs

문제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1063

 

1063번: 킹

8*8크기의 체스판에 왕이 하나 있다. 킹의 현재 위치가 주어진다. 체스판에서 말의 위치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알파벳 하나와 숫자 하나로 이루어져 있는데, 알파벳은 열을 상징하고, 숫자는

www.acmicpc.net

 

728x90
반응형

'Algorithm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1004. 어린 왕자  (0) 2022.03.22
[BOJ]2252. 줄 세우기  (0) 2022.03.17
[BOJ]2195. 문자열 복사  (0) 2022.03.10
[BOJ]2212. 센서  (0) 2022.03.08
[BOJ]17609. 회문  (0) 2022.03.03
728x90
반응형

문제:

어떤 원본 문자열 S가 주어졌을 때, 이 문자열의 부분을 복사하여 P라는 새로운 문자열을 만들려고 한다. 복사를 할 때에는 copy(s, p) 이라는 함수를 이용하는데, 이는 S의 s번 문자부터 p개의 문자를 P에 복사해서 붙인다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S="abaabba", P="aaabbbabbbaaa"인 경우를 생각해 보자. 이때는 copy(3, 2), copy(4, 3), copy(2, 2), copy(5, 2), copy(2, 3), copy(1, 1) 를 수행하여 P를 만들 수 있다. 각 단계별로 P는 "aa", "aaabb", "aaabbba", …와 같이 변하게 된다.

이와 같은 copy 연산을 이용하여 S에서 P를 만들려고 하는데, 이때 가능하면 copy 함수를 조금 사용하려고 한다.

S와 P가 주어졌을 때, 필요한 copy 함수의 최소 사용횟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S, 둘째 줄에 P가 주어진다. S와 P는 영어 대소문자와 숫자로만 되어 있다. S의 길이는 1,000을 넘지 않으며, P의 길이는 1,000을 넘지 않는다. copy함수만을 이용하여 S에서 P를 만들어낼 수 없는 경우는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는다고 가정하자. 각 문자열은 최소한 한 개의 문자로 이루어져 있다.

출력:

첫째 줄에 copy 함수의 최소 사용횟수를 출력한다.

풀이방법:

 P에 있는 부분 문자열을 S에서 그리디하게 찾아내어 이 문제를 해결하도록 한다.

찾으려는 P의 문자를 S에서 찾은 뒤에 그 지점으로부터 얼마나 많이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S="abaabba", P="aaabbbabbbaaa" 일 때, P의 첫 문자는 'a'이며, S에서는 a가 0, 2, 3, 6 번째에 위치하고 있다. python의 find 함수를 이용하여 a의 위치를 확인하고, P와 S 에서 동시에 포인터를 이동하며 얼마나 많이 일치하는지 찾는다. 다음 탐색은 일치하는 수 만큼 P의 포인터를 이동시킨다. 이 경우에는 S의 2번째에서 aa가 가장 길게 일치하므로, P의 2번째 인덱스부터 다음 탐색을 시작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input()
= input()
idx = 0
answer = 0
while idx < len(P):
    start = P[idx]
    tmp = 0
    cnt = 0
    while True:
        temp_idx = idx
        temp = 0
        ix = S.find(start, tmp)
        if ix==-1:
            break
        while ix<len(S) and temp_idx<len(P):
            if S[ix]==P[temp_idx]:
                ix+=1
                temp_idx+=1
                temp +=1
            else:
                break
        tmp=ix+1
        cnt = max(cnt, temp)
    answer+=1
    idx+=cnt
print(answer)
cs

문제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2195

 

2195번: 문자열 복사

첫째 줄에 S, 둘째 줄에 P가 주어진다. S와 P는 영어 대소문자와 숫자로만 되어 있다. S의 길이는 1,000을 넘지 않으며, P의 길이는 1,000을 넘지 않는다. copy함수만을 이용하여 S에서 P를 만들어낼 수

www.acmicpc.net

 

728x90
반응형

'Algorithm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2252. 줄 세우기  (0) 2022.03.17
[BOJ]1063. 킹  (0) 2022.03.15
[BOJ]2212. 센서  (0) 2022.03.08
[BOJ]17609. 회문  (0) 2022.03.03
[BOJ]1766. 문제집  (0) 2022.03.01
728x90
반응형

ㅌ문제:

한국도로공사는 고속도로의 유비쿼터스화를 위해 고속도로 위에 N개의 센서를 설치하였다. 문제는 이 센서들이 수집한 자료들을 모으고 분석할 몇 개의 집중국을 세우는 일인데, 예산상의 문제로, 고속도로 위에 최대 K개의 집중국을 세울 수 있다고 한다.

각 집중국은 센서의 수신 가능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집중국의 수신 가능 영역은 고속도로 상에서 연결된 구간으로 나타나게 된다. N개의 센서가 적어도 하나의 집중국과는 통신이 가능해야 하며, 집중국의 유지비 문제로 인해 각 집중국의 수신 가능 영역의 길이의 합을 최소화해야 한다.

편의를 위해 고속도로는 평면상의 직선이라고 가정하고, 센서들은 이 직선 위의 한 기점인 원점으로부터의 정수 거리의 위치에 놓여 있다고 하자. 따라서, 각 센서의 좌표는 정수 하나로 표현된다. 이 상황에서 각 집중국의 수신 가능영역의 거리의 합의 최솟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단, 집중국의 수신 가능영역의 길이는 0 이상이며 모든 센서의 좌표가 다를 필요는 없다.

입력:

첫째 줄에 센서의 개수 N(1 ≤ N ≤ 10,000), 둘째 줄에 집중국의 개수 K(1 ≤ K ≤ 1000)가 주어진다. 셋째 줄에는 N개의 센서의 좌표가 한 개의 정수로 N개 주어진다. 각 좌표 사이에는 빈 칸이 하나 있으며, 좌표의 절댓값은 1,000,000 이하이다.

출력:

첫째 줄에 문제에서 설명한 최대 K개의 집중국의 수신 가능 영역의 길이의 합의 최솟값을 출력한다.

풀이방법:

 해당 문제는 N개의 센서가 있을 때, K개의 그룹으로 만드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알고리즘 순서대로 진행한다.

 

1. 센서들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

2. 각 센서들간의 차이를 구한다.

3. 각 센서들간의 차이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한다.

4. 앞에서 부터 K-1개를 제외한 나머지들을 다 합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 int(input())
= int(input())
numbers = sorted(list(map(int,input().split())))
 
diff = []
for i,v in enumerate(numbers):
    if i==0:
        continue
    diff.append(v - numbers[i-1])
    
diff = sorted(diff, reverse=True)
print(sum(diff[K-1:]))
cs

문제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2212

 

2212번: 센서

첫째 줄에 센서의 개수 N(1 ≤ N ≤ 10,000), 둘째 줄에 집중국의 개수 K(1 ≤ K ≤ 1000)가 주어진다. 셋째 줄에는 N개의 센서의 좌표가 한 개의 정수로 N개 주어진다. 각 좌표 사이에는 빈 칸이 하나 있

www.acmicpc.net

 

728x90
반응형

'Algorithm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1063. 킹  (0) 2022.03.15
[BOJ]2195. 문자열 복사  (0) 2022.03.10
[BOJ]17609. 회문  (0) 2022.03.03
[BOJ]1766. 문제집  (0) 2022.03.01
[BOJ]1256. 사전  (0) 2022.02.24
728x90
반응형

문제:

회문(回文) 또는 팰린드롬(palindrome)은 앞 뒤 방향으로 볼 때 같은 순서의 문자로 구성된 문자열을 말한다. 예를 들어 ‘abba’ ‘kayak’, ‘reviver’, ‘madam’은 모두 회문이다. 만일 그 자체는 회문이 아니지만 한 문자를 삭제하여 회문으로 만들 수 있는 문자열이라면 우리는 이런 문자열을 “유사회문”(pseudo palindrome)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summuus’는 5번째나 혹은 6번째 문자 ‘u’를 제거하여 ‘summus’인 회문이 되므로 유사회문이다.

여러분은 제시된 문자열을 분석하여 그것이 그 자체로 회문인지, 또는 한 문자를 삭제하면 회문이 되는 “유사회문”인지, 아니면 회문이나 유사회문도 아닌 일반 문자열인지를 판단해야 한다. 만일 문자열 그 자체로 회문이면 0, 유사회문이면 1, 그 외는 2를 출력해야 한다. 

입력:

입력의 첫 줄에는 주어지는 문자열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수 T(1 ≤ T ≤ 30)가 주어진다. 다음 줄부터 T개의 줄에 걸쳐 한 줄에 하나의 문자열이 입력으로 주어진다. 주어지는 문자열의 길이는 3 이상 100,000 이하이고, 영문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다.

출력:

각 문자열이 회문인지, 유사 회문인지, 둘 모두 해당되지 않는지를 판단하여 회문이면 0, 유사 회문이면 1, 둘 모두 아니면 2를 순서대로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

풀이방법:

 일반적인 회문 문제와는 다르게 한 번의 기회를 더 제공하는 '유사회문'이라는 추가 조건이 더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회문을 판정하는 함수에 추가적으로 하나의 문자를 삭제하고 추가로 회문인지 판단하는 함수를 더 추가하도록 한다. 이 때, 하나의 문자를 제거할 때, 왼쪽의 문자, 오른쪽의 문자를 한번씩 모두 제거하여 유사회문이 되는지 판단하여야 한다. 만약 한쪽을 우선적으로 판단하면 오류가 되는 케이스를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회문이라면 0을 반환하고, 하나를 제거해야 하는 상황인데 왼쪽, 오른쪽을 둘 다 확인했을 때, 하나가 가능하다면 1, 둘 다 불가능하다면 2를 반환하여 출력을 할 수 있도록 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def next_palindrome(s, left, right):
    while left < right:
        if s[left]==s[right]:
            left+=1
            right-=1
        else:
            return 0
    return 1
 
def is_palindrome(s, left, right):
    while left < right:
        if s[left]==s[right]:
            left+=1
            right-=1
        else:
            left_count = next_palindrome(s, left+1, right)
            right_count = next_palindrome(s, left, right-1)
            if left_count or right_count:
                return 1
            else:
                return 2
    return 0
 
= int(input())
for _ in range(T):
    string = input()
    answer = is_palindrome(string, 0len(string)-1)
    if answer >= 2:
        answer = 2
    print(answer)
cs

문제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17609

 

17609번: 회문

각 문자열이 회문인지, 유사 회문인지, 둘 모두 해당되지 않는지를 판단하여 회문이면 0, 유사 회문이면 1, 둘 모두 아니면 2를 순서대로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

www.acmicpc.net

 

728x90
반응형

'Algorithm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2195. 문자열 복사  (0) 2022.03.10
[BOJ]2212. 센서  (0) 2022.03.08
[BOJ]1766. 문제집  (0) 2022.03.01
[BOJ]1256. 사전  (0) 2022.02.24
[BOJ]10164. 격자상의 경로  (0) 2022.02.22
728x90
반응형

문제:

민오는 1번부터 N번까지 총 N개의 문제로 되어 있는 문제집을 풀려고 한다. 문제는 난이도 순서로 출제되어 있다. 즉 1번 문제가 가장 쉬운 문제이고 N번 문제가 가장 어려운 문제가 된다.

어떤 문제부터 풀까 고민하면서 문제를 훑어보던 민오는, 몇몇 문제들 사이에는 '먼저 푸는 것이 좋은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예를 들어 1번 문제를 풀고 나면 4번 문제가 쉽게 풀린다거나 하는 식이다. 민오는 다음의 세 가지 조건에 따라 문제를 풀 순서를 정하기로 하였다.

  1. N개의 문제는 모두 풀어야 한다.
  2. 먼저 푸는 것이 좋은 문제가 있는 문제는, 먼저 푸는 것이 좋은 문제를 반드시 먼저 풀어야 한다.
  3. 가능하면 쉬운 문제부터 풀어야 한다.

예를 들어서 네 개의 문제가 있다고 하자. 4번 문제는 2번 문제보다 먼저 푸는 것이 좋고, 3번 문제는 1번 문제보다 먼저 푸는 것이 좋다고 하자. 만일 4-3-2-1의 순서로 문제를 풀게 되면 조건 1과 조건 2를 만족한다. 하지만 조건 3을 만족하지 않는다. 4보다 3을 충분히 먼저 풀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건 3을 만족하는 문제를 풀 순서는 3-1-4-2가 된다.

문제의 개수와 먼저 푸는 것이 좋은 문제에 대한 정보가 주어졌을 때,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면서 민오가 풀 문제의 순서를 결정해 주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문제의 수 N(1 ≤ N ≤ 32,000)과 먼저 푸는 것이 좋은 문제에 대한 정보의 개수 M(1 ≤ M ≤ 1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M개의 줄에 걸쳐 두 정수의 순서쌍 A,B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이는 A번 문제는 B번 문제보다 먼저 푸는 것이 좋다는 의미이다.

항상 문제를 모두 풀 수 있는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문제 번호를 나타내는 1 이상 N 이하의 정수들을 민오가 풀어야 하는 순서대로 빈칸을 사이에 두고 출력한다.

풀이방법:

이 문제는 '사이클'이 없으며 '방향'만 존재하는 그래프에서 정점을 나열하는 방법으로 풀 수 있다. 이러한 문제 푸는 방법을 위상 정렬 (Topological Sort)라고 한다.

 또한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최소 힙을 사용한 우선순위 큐를 사용하도록 한다. 문제는 다음과 같은 알고리즘 순서로 해결한다.

 

1. 정점과 연결된 그래프와 해당 정점과 연결된 정점의 개수 리스트를 만든다.

2. 연결된 정점 개수 리스트(In_degree)가 없는 정점부터 먼저 최소 힙에 넣어준다.

3. 해당 정점과 연결되어 있는 정점(In_degree)들부터 하나씩 제거해 준다.

4. 연결된 정점 개수가 없는 정점이 생긴다면 최소 힙을 다시 넣어준다. 이후 3)으로 돌아간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import sys
import heapq
 
input = sys.stdin.readline
 
N, M = map(int,input().split())
problems = [[] for i in range(N+1)]
in_degree = [0 for i in range(N+1)]
 
= []
 
for _ in range(M):
    a, b = map(int,input().split())
    problems[a].append(b)
    in_degree[b]+=1
    
for i in range(1, N+1):
    if in_degree[i] == 0:
        heapq.heappush(h, i)
        
answer =[]
while h:
    tmp = heapq.heappop(h)
    answer.append(tmp)
    for j in problems[tmp]:
        in_degree[j] -=1
        if in_degree[j] == 0:
            heapq.heappush(h,j)
            
print(*answer)
cs

문제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1766

 

1766번: 문제집

첫째 줄에 문제의 수 N(1 ≤ N ≤ 32,000)과 먼저 푸는 것이 좋은 문제에 대한 정보의 개수 M(1 ≤ M ≤ 1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M개의 줄에 걸쳐 두 정수의 순서쌍 A,B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

www.acmicpc.net

 

728x90
반응형

'Algorithm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2212. 센서  (0) 2022.03.08
[BOJ]17609. 회문  (0) 2022.03.03
[BOJ]1256. 사전  (0) 2022.02.24
[BOJ]10164. 격자상의 경로  (0) 2022.02.22
[BOJ]1916. 최소비용 구하기  (0) 2022.02.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