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문제:

오민식 선생님은 올해 형택초등학교 6학년 1반 담임을 맡게 되었다. 오민식 선생님은 우선 임시로 반장을 정하고 학생들이 서로 친숙해진 후에 정식으로 선거를 통해 반장을 선출하려고 한다. 그는 자기반 학생 중에서 1학년부터 5학년까지 지내오면서 한번이라도 같은 반이었던 사람이 가장 많은 학생을 임시 반장으로 정하려 한다.

그래서 오민식 선생님은 각 학생들이 1학년부터 5학년까지 몇 반에 속했었는지를 나타내는 표를 만들었다. 예를 들어 학생 수가 5명일 때의 표를 살펴보자.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5학년
1번 학생 2 3 1 7 3
2번 학생 4 1 9 6 8
3번 학생 5 5 2 4 4
4번 학생 6 5 2 6 7
5번 학생 8 4 2 2 2

위 경우에 4번 학생을 보면 3번 학생과 2학년 때 같은 반이었고, 3번 학생 및 5번 학생과 3학년 때 같은 반이었으며, 2번 학생과는 4학년 때 같은 반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이 학급에서 4번 학생과 한번이라도 같은 반이었던 사람은 2번 학생, 3번 학생과 5번 학생으로 모두 3명이다. 이 예에서 4번 학생이 전체 학생 중에서 같은 반이었던 학생 수가 제일 많으므로 임시 반장이 된다.

각 학생들이 1학년부터 5학년까지 속했던 반이 주어질 때, 임시 반장을 정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는 반의 학생 수를 나타내는 정수가 주어진다. 학생 수는 3 이상 1000 이하이다. 둘째 줄부터는 1번 학생부터 차례대로 각 줄마다 1학년부터 5학년까지 몇 반에 속했었는지를 나타내는 5개의 정수가 빈칸 하나를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주어지는 정수는 모두 1 이상 9 이하의 정수이다.

출력:

첫 줄에 임시 반장으로 정해진 학생의 번호를 출력한다. 단, 임시 반장이 될 수 있는 학생이 여러 명인 경우에는 그 중 가장 작은 번호만 출력한다.

풀이방법:

 학생들간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Nx N 행렬을 만들도록 한다. 그리고 선생님이 만든 각 학생들이 몇 반에 속했었는지를 나타낸 표를 통해 학생들간의 같은 반 유무를 행렬에 담도록 한다. 같은 반이 된 적이 있다면 1로 표기를 하며 넘어가도록 한다. 이 때, 양 방향으로 카운트를 올려주도록 한다. (1번, 3번이 같은 반이 된 적이 있다면 1번, 3번 둘 다 카운트를 올려줘야 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int(input())
 
student = []
for _ in range(n):
    stu = list(map(int,input().split()))
    student.append(stu)
    
answer = [[0 for  _ in range(n)] for _ in range(n)]
for k in range(5):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i+1, n):
            if student[i][k]==student[j][k]:
                answer[i][j] =1
                answer[j][i] =1
 
count = []
for a in answer:
    count.append(a.count(1))
        
print(count.index(max(count))+1)
cs

문제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1268

 

1268번: 임시 반장 정하기

첫째 줄에는 반의 학생 수를 나타내는 정수가 주어진다. 학생 수는 3 이상 1000 이하이다. 둘째 줄부터는 1번 학생부터 차례대로 각 줄마다 1학년부터 5학년까지 몇 반에 속했었는지를 나타내는 5

www.acmicpc.net

 

728x90
반응형

'Algorithm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2550. 전구  (0) 2022.05.17
[BOJ]2116. 주사위 쌓기  (0) 2022.05.12
[BOJ] 2511. 카드놀이  (0) 2022.05.03
[BOJ]2436. 공약수  (0) 2022.04.28
[BOJ]6976. 절사평균  (0) 2022.04.26
728x90
반응형

문제:

0부터 9까지의 숫자가 표시된 카드를 가지고 두 사람 A와 B가 게임을 한다. A와 B에게는 각각 0에서 9까지의 숫자가 하나씩 표시된 10장의 카드뭉치가 주어진다. 두 사람은 카드를 임의의 순서로 섞은 후 숫자가 보이지 않게 일렬로 늘어  놓고 게임을 시작한다. 단, 게임 도중 카드의 순서를 바꿀 수는 없다.

A와 B 각각이 늘어놓은 카드를 뒤집어서 표시된 숫자를 확인하는 것을 한 라운드라고 한다. 게임은 첫 번째 놓인 카드부터 시작하여 순서대로 10번의 라운드로 진행된다. 각 라운드에서는 공개된 숫자가 더 큰 사람이 승자가 된다. 승자에게는 승점 3점이 주어지고 패자에게는 승점이 주어지지 않는다. 만약 공개된 두 숫자가 같아서 비기게 되면, A, B 모두에게 승점 1점이 주어진다. 

10번의 라운드가 모두 진행된 후, 총 승점이 큰 사람이 게임의 승자가 된다. 만약, A와 B의 총 승점이 같은 경우에는, 제일 마지막에 이긴 사람을 게임의 승자로 정한다. 그래도 승부가 나지 않는 경우는 모든 라운드에서 비기는 경우뿐이고 이 경우에 두 사람은 비겼다고 한다.

예를 들어, 다음 표에서 3번째 줄은 각 라운드의 승자를 표시하고 있다. 표에서 D는 무승부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 A의 총 승점은 16점이고, B는 13점이어서, A가 게임의 승자가 된다. 

라운드 1 2 3 4 5 6 7 8 9 10
A 4 5 6 7 0 1 2 3 9 8
B 1 2 3 4 5 6 7 8 9 0
A A A A B B B B D A

아래 표의 경우에는 A와 B의 총 승점은 13점으로 같다. 마지막으로 승부가 난 라운드는 7번째 라운드이고, 이 라운드의 승자인 B가 게임의 승자가 된다. 

라운드 1 2 3 4 5 6 7 8 9 10
A 9 1 7 2 6 3 0 4 8 5
B 6 3 9 2 1 0 7 4 8 5
A B B D A A B D D D

A와 B가 늘어놓은 카드의 숫자가 순서대로 주어질 때, 게임의 승자가 A인지 B인지, 또는 비겼는지 결정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입력 파일은 두 개의 줄로 이루어진다. 첫 번째 줄에는 A가 늘어놓은 카드의 숫자들이 빈칸을 사이에 두고 순서대로 주어진다. 두 번째 줄에는 B가 늘어놓은 카드의 숫자들이 빈칸을 사이에 두고 순서대로 주어진다. 

출력:

첫 번째 줄에는 게임이 끝난 후, A와 B가 받은 총 승점을 순서대로 빈칸을 사이에 두고 출력한다. 두 번째 줄에는 이긴 사람이 A인지 B인지 결정해서, 이긴 사람을 문자 A 또는 B로 출력한다. 만약 비기는 경우에는 문자 D를 출력한다. 

풀이방법:

 각 라운드를 진행하면서 A의 점수, B의 점수를 더해주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history라는 배열에 누가 이겼는지 혹은 비겼는지에 대해 기록하도록 한다.

 모든 라운드가 종료한 뒤로, 서로 점수가 다르다면 더 높은 사람을 출력하도록 하고, 점수가 같다면, history를 사용하여 제일 마지막으로 이긴 사람을 찾도록 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list(map(int, input().split()))
= list(map(int, input().split()))
 
a_score = 0
b_score = 0
history = []
for a, b in zip(A, B):
    if a>b:
        a_score+=3
        history.append("A")
    elif a==b:
        a_score+=1
        b_score+=1
        history.append("D")
    else:
        b_score+=3
        history.append("B")
        
print(a_score, b_score)
if a_score > b_score:
    print("A")
elif a_score==b_score:
    idx = len(history)-1
    answer = 'D'
    while idx:
        if history[idx]=='D':
            idx-=1
        else:
            answer= history[idx]
            break
    print(answer)
else:
    print("B")
cs

문제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2511

 

2511번: 카드놀이

첫 번째 줄에는 게임이 끝난 후, A와 B가 받은 총 승점을 순서대로 빈칸을 사이에 두고 출력한다. 두 번째 줄에는 이긴 사람이 A인지 B인지 결정해서, 이긴 사람을 문자 A 또는 B로 출력한다. 만약

www.acmicpc.net

 

728x90
반응형

'Algorithm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2116. 주사위 쌓기  (0) 2022.05.12
[BOJ]1268. 임시 반장 정하기  (0) 2022.05.10
[BOJ]2436. 공약수  (0) 2022.04.28
[BOJ]6976. 절사평균  (0) 2022.04.26
[BOJ] 2303. 숫자 게임  (0) 2022.04.21
728x90
반응형

문제:

어떤 두 자연수에 공통인 약수들 중에서 가장 큰 수를 최대공약수라고 하고, 두 자연수의 공통인 배수들 중에서 가장 작은 수를 최소공배수라고 한다.

예를 들어, 두 자연수 12와 90의 최대공약수는 6이며, 최소공배수는 180이다.

이와 반대로 두 개의 자연수 A, B가 주어졌을 때, A를 최대공약수로, B를 최소공배수로 하는 두 개의 자연수를 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두 개의 자연수 쌍은 여러 개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없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최대공약수가 6이며 최소공배수가 180인 두 정수는 위의 예에서와 같이 12와 90일 수도 있으며, 30과 36, 18과 60, 혹은 6과 180일 수도 있다. 그러나, 최대공약수가 6이며 최소공배수가 20인 두 자연수는 있을 수 없다.

두 개의 자연수가 주어졌을 때, 이 두 수를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로 하는 두 개의 자연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두 개의 자연수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첫 번째 수는 어떤 두 개의 자연수의 최대공약수이고, 두 번째 수는 그 자연수들의 최소공배수이다. 입력되는 두 자연수는 2 이상 100,000,000 이하이다.

출력:

첫째 줄에는 입력되는 두 자연수를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로 하는 두 개의 자연수를 크기가 작은 수부터 하나의 공백을 사이에 두고 출력한다. 입력되는 두 자연수를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로 하는 두 개의 자연수 쌍이 여러 개 있는 경우에는 두 자연수의 합이 최소가 되는 두 수를 출력한다.

풀이방법:

 어떤 두 자연수를 A, B라고 하고, 최대공약수를 G,  최소공배수를 L이라고 하자. 최대공약수는 공통인 약수들 중에서 가장 큰 수이기 때문에 두 자연수 A, B는 A=aG, B=bG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최소공배수는 두 자연수의 공통인 배수들 중에서 가장 작은 수이므로 L=abG라고 표현할 수 있다. (aG와 bG의 공통의 배수이기 때문)

 따라서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 간의 관계는 ab= L/G라고 할 수 있다. A와 B를 찾기 위해 G는 이미 알고 있으므로 가능한 a와 b를 구하도록 한다. 즉, ab의 약수들을 찾으면 되는 문제다.

 ab의 약수들을 기반으로 A와 B 값을 구한 뒤에 문제의 조건처럼 두 자연수의 합이 최소가 되도록 정렬을 수행하여 두 수를 찾는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import math
 
G, L = map(int,input().split())
ab = L//G
 
answers = []
for n in range(1,int(math.sqrt(ab))+1):
    if ab%n==0 and math.gcd(ab//n, n)==1:
        A, B = n*G, ab//n*G
        answers.append((A,B))
 
print(*sorted(answers, key = lambda x: x[1]-x[0])[0])
cs

문제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2436

 

2436번: 공약수

첫째 줄에 두 개의 자연수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첫 번째 수는 어떤 두 개의 자연수의 최대공약수이고, 두 번째 수는 그 자연수들의 최소공배수이다. 입력되는 두 자연수는 2 이상 100,0

www.acmicpc.net

 

728x90
반응형

'Algorithm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1268. 임시 반장 정하기  (0) 2022.05.10
[BOJ] 2511. 카드놀이  (0) 2022.05.03
[BOJ]6976. 절사평균  (0) 2022.04.26
[BOJ] 2303. 숫자 게임  (0) 2022.04.21
[BOJ]2635. 수 이어가기  (0) 2022.04.19
728x90
반응형

문제:

체조나 다이빙 등의 경기에서 일부 심판이 자기가 좋아하는 선수에게 높은 점수를, 싫어하는 선수에게 낮은 점수를 주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따라서 심판들이 주는 점수의 평균점수를 선수에게 주게 되면 공정하지 않은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절사평균이나 보정평균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심사위원 일곱 명이 다음과 같이 점수를 주었다고 하자.

9.3, 9.5, 9.6, 9.8, 9.1, 5.0, 9.3

전체의 합이 61.6이 되므로 평균은 8.8이 된다. 이 평균점수는 한 심판이 다른 심판에 비하여 아주 낮은 점수인 5.0을 주어서 나온 결과로, 선수는 매우 불공정하다고 느낄 것이다.

위의 점수를 작은데서 큰 순서로 정렬하면 5.0, 9.1, 9.3, 9.3, 9.5, 9.6, 9.8 이 된다.

이때 절사평균(7, 2)는 정렬된 전체 점수 일곱 개 중 양쪽 끝에서 두 개씩을 제외하고 난 9.3, 9.3, 9.5의 평균인 9.37이 된다(소수점이하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 또 보정평균(7, 2)는 정렬된 전체 점수 일곱 개 중 양쪽 끝에서 각각 두 개를, 남은 점수 중 가장 가까운 것으로 교체한 9.3, 9.3, 9.3, 9.3, 9.5, 9.5, 9.5의 평균으로 9.39가 된다(소수점이하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

N개의 점수와 양쪽에서 제외하는 개수 K 값이 주어졌을 때 절사평균(N, K)와 보정평균(N, K)를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전체 점수의 개수 N과 제외되는 점수의 개수 K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N은 3 이상 100,000 이하의 자연수이다. K는 0 이상 (N/2)-1 이하로 주어진다. 그 다음 N줄에는 각 심판의 점수가 한 줄에 하나씩 주어진다. 점수는 0 이상 10 이하의 실수로 소수점이하 첫째 자리까지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절사평균(N, K)를, 둘째 줄에 보정평균(N, K)를 각각 소수점이하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둘째 자리까지 출력한다. 예를 들어 결과값이 9.667인 경우 9.67로, 5인 경우 5.00으로, 5.5인 경우에는 5.50으로 출력한다.

풀이방법:

 조건에 맞게 필요하지 않은 값을 제외하고 평균을 구하면 되는 문제지만, 부동 소수점을 고려해야 한다. 부동 소수점 문제는 컴퓨터가 float을 표현할 때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0.3이 입력으로 들어와서 a라는 변수에 저장한다고 해도, a에는 정확히 0.3의 값이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0.3000000000001과 같이 부정확하게 값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값들이 누적되어 평균을 구하게 되면 원래 원하던 평균과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일반적으로 float을 지수 부분, 가수 부분으로 나눌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고, Python에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Decimal이라는 라이브러리를 제공하기도 한다. 하지만 1e-8과 같이 아주 작은 수를 더해주면 해결되는 방법도 있다고 한다. 따라서 평균을 구할 때, 1e-8과 같은 작은 수를 더해 부동소수점 문제를 해결하도록 한다.

1
2
3
4
5
6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K = map(int,input().split())
numbers = sorted([float(input()) for _ in range(N)])
print('{:.2f}'.format(sum(numbers[K:N-K])/(N-2*K)+1e-8))
print('{:.2f}'.format((sum(numbers[K:N-K])+numbers[K]*K+numbers[N-K-1]*K)/+1e-8))
cs

문제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6986

 

6986번: 절사평균

첫째 줄에 절사평균(N, K)를, 둘째 줄에 보정평균(N, K)를 각각 소수점이하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둘째 자리까지 출력한다. 예를 들어 결과값이 9.667인 경우 9.67로, 5인 경우 5.00으로, 5.5인 경우

www.acmicpc.net

 

728x90
반응형

'Algorithm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 2511. 카드놀이  (0) 2022.05.03
[BOJ]2436. 공약수  (0) 2022.04.28
[BOJ] 2303. 숫자 게임  (0) 2022.04.21
[BOJ]2635. 수 이어가기  (0) 2022.04.19
[BOJ]2596. 비밀편지  (0) 2022.04.14
728x90
반응형

문제:

N명이 모여 숫자 게임을 하고자 한다. 각 사람에게는 1부터 10사이의 수가 적혀진 다섯 장의 카드가 주어진다. 그 중 세 장의 카드를 골라 합을 구한 후 일의 자리 수가 가장 큰 사람이 게임을 이기게 된다. 세 장의 카드가 (7, 8, 10)인 경우에는 합은 7+8+10 = 25가 되고 일의 자리 수는 5가 된다. 어떤 사람이 받은 카드가 (7, 5, 5, 4, 9)인 경우 (7, 4, 9)를 선택하면 합이 20이 되어 일의 자리 수는 0이 되고, (5, 5, 9)를 선택하면 합이 19가 되어 일의 자리 수는 9가 된다. 게임을 이기기 위해서는 세 장의 카드를 선택할 때 그 합의 일의 자리 수가 가장 크게 되도록 선택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N=3일 때

  • 1번 사람이 (7, 5, 5, 4, 9),
  • 2번 사람이 (1, 1, 1, 1, 1),
  • 3번 사람이 (2, 3, 3, 2, 10)의 

카드들을 받았을 경우, 세 수의 합에서 일의 자리 수가 가장 크게 되도록 세 수를 선택하면

  • 1번 사람은 (5, 5, 9)에서 9,
  • 2번 사람은 (1, 1, 1)에서 3,
  • 3번 사람은 (2, 3, 3)에서 8의

결과를 각각 얻을 수 있으므로 첫 번째 사람이 이 게임을 이기게 된다.

N명에게 각각 다섯 장의 카드가 주어졌을 때, 세 장의 카드를 골라 합을 구한 후 일의 자리 수가 가장 큰 사람을 찾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가장 큰 수를 갖는 사람이 두 명 이상일 경우에는 번호가 가장 큰 사람의 번호를 출력한다.

입력:

첫 줄에는 사람의 수를 나타내는 정수 N이 주어진다. N은 2이상 1,000이하이다. 그 다음 N 줄에는 1번부터 N번까지 각 사람이 가진 카드가 주어지는 데, 각 줄에는 1부터 10사이의 정수가 다섯 개씩 주어진다. 각 정수 사이에는 한 개의 빈칸이 있다.

출력:

게임에서 이긴 사람의 번호를 첫 번째 줄에 출력한다. 이긴 사람이 두 명 이상일 경우에는 번호가 가장 큰 사람의 번호를 출력한다.

풀이방법:

 시간복잡도가 N이며, N은 최대 1000이기 때문에 브루트 포스 방법으로 해결해도 된다. 각 사람들에 대해서 모든 조합을 구한 뒤 가장 큰 일의 자리의 수를 가지고 있는 사람을 찾으면 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from itertools import combinations
 
= int(input())
answer = []
for i in range(N):
    numbers = list(combinations(list(map(int,input().split())),3))
    score = 0
    for number in numbers:
        tmp = sum(number)%10
        score = max(score, tmp)
    answer.append((score,i+1))
 
answer = sorted(answer, key=lambda x: (-x[0], -x[1]))
print(answer[0][1])
cs

문제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2303

 

2303번: 숫자 게임

N명이 모여 숫자 게임을 하고자 한다. 각 사람에게는 1부터 10사이의 수가 적혀진 다섯 장의 카드가 주어진다. 그 중 세 장의 카드를 골라 합을 구한 후 일의 자리 수가 가장 큰 사람이 게임을 이

www.acmicpc.net

 

728x90
반응형

'Algorithm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2436. 공약수  (0) 2022.04.28
[BOJ]6976. 절사평균  (0) 2022.04.26
[BOJ]2635. 수 이어가기  (0) 2022.04.19
[BOJ]2596. 비밀편지  (0) 2022.04.14
[BOJ]2615. 오목  (0) 2022.04.12
728x90
반응형

문제:

다음과 같은 규칙에 따라 수들을 만들려고 한다.

  1. 첫 번째 수로 양의 정수가 주어진다.
  2. 두 번째 수는 양의 정수 중에서 하나를 선택한다.
  3. 세 번째부터 이후에 나오는 모든 수는 앞의 앞의 수에서 앞의 수를 빼서 만든다. 예를 들어, 세 번째 수는 첫 번째 수에서 두 번째 수를 뺀 것이고, 네 번째 수는 두 번째 수에서 세 번째 수를 뺀 것이다.
  4. 음의 정수가 만들어지면, 이 음의 정수를 버리고 더 이상 수를 만들지 않는다.

첫 번째 수로 100이 주어질 때, 두 번째 수로 60을 선택하여 위의 규칙으로 수들을 만들면 7개의 수들 100, 60, 40, 20, 20 , 0, 20이 만들어진다. 그리고 두 번째 수로 62를 선택하여 위의 규칙으로 수들을 만들면 8개의 수들 100, 62, 38, 24, 14, 10, 4, 6이 만들어진다. 위의 예에서 알 수 있듯이, 첫 번째 수가 같더라도 두 번째 수에 따라서 만들어지는 수들의 개수가 다를 수 있다.

입력으로 첫 번째 수가 주어질 때, 이 수에서 시작하여 위의 규칙으로 만들어지는 최대 개수의 수들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최대 개수의 수들이 여러 개일 때, 그중 하나의 수들만 출력하면 된다.

입력:

첫 번째 수가 주어진다. 이 수는 30,000 보다 같거나 작은 양의 정수이다.

출력:

첫 번째 줄에는 입력된 첫 번째 수로 시작하여 위의 규칙에 따라 만들 수 있는 수들의 최대 개수를 출력한다.

둘째 줄에 그 최대 개수의 수들을 차례대로 출력한다. 이들 수 사이에는 빈칸을 하나씩 둔다.

풀이방법:

 주어질 수 있는 첫 번째 수가 크지 않기 때문에 브루트 포스 방법으로 모든 케이스를 고려하여 해결하면 된다. 1부터 N까지 반복하여 두 번째 수를 결정하고 3번, 4번의 과정을 진행한다. 4번으로 인해 더 이상 수를 만들지 않을 때마다 생성한 수들의 갯수를 비교하여 이전 케이스보다 큰 경우에만 기록하도록 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int(input())
answer = []
# N=1 일 때
for i in range(1,N+1):
    first = N
    second = i
    tmp = [N, i]
    while True:
        next_ = first - second
        if next_ >= 0:
            tmp.append(next_)
            first, second = second, next_
        else:
            if len(tmp) > len(answer):
                answer = tmp
            break
print(len(answer))
print(*answer)
cs

문제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2635

 

2635번: 수 이어가기

첫 번째 수가 주어진다. 이 수는 30,000 보다 같거나 작은 양의 정수이다.

www.acmicpc.net

 

728x90
반응형

'Algorithm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6976. 절사평균  (0) 2022.04.26
[BOJ] 2303. 숫자 게임  (0) 2022.04.21
[BOJ]2596. 비밀편지  (0) 2022.04.14
[BOJ]2615. 오목  (0) 2022.04.12
[BOJ]2628. 종이자르기  (0) 2022.04.07
728x90
반응형

문제:

병현이는 지은이에게 문자 A, B, C, D, E, F, G, H 로 쓰여진 편지를 날마다 보내는데, 컴퓨터로 보내는 비밀편지로, 한 문자마다 0 또는 1인 숫자 여섯 개를 사용하여 보낸다. 둘 사이의 약속은 다음과 같다.

  • A 000000
  • B 001111
  • C 010011
  • D 011100
  • E 100110
  • F 101001
  • G 110101
  • H 111010

병현이가 어느 날 001111000000011100 을 보내면 지은이는 이것을 BAD로 이해하게 된다. 그런데 둘 사이에 약속이 잘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통신에 문제가 생겨서 한 문자를 표시하는 여섯 숫자 중 어느 한 숫자만 틀리게 오는 경우, 지은이는 원래 보내려는 문자를 알아 낼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지은이가 000100을 받았을 때, A와 숫자 한자만 다르고, 다른 문자들과는 각각 숫자 두 자 이상이 다르므로 지은이는 이것이 A라고 알아보게 된다.

다만 111111과 같이 모든 문자의 표현과 숫자 두 자 이상이 다른 경우에는 무슨 문자인지 알 수가 없게 된다. 예를 들어 지은이가 011111000000111111000000111111 을 받았을 때, BA 다음에 알아 볼 수 없는 문자가 나오는데. 이 경우 이런 것이 처음 나오는 문자의 위치인 3을 출력한다.

지은이가 받은 편지를 보고 문자들을 알아내어 출력하거나, 모르는 문자가 있는 경우, 이것이 처음 나오는 위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줄에는 보낸 문자의 개수(10개 보다 작다.)가 입력된다. 다음 줄에는 문자의 개수의 여섯 배 만큼의 숫자 입력이 주어진다.

출력:

주어진 입력에서 지은이가 이해한 문자들을 출력하거나, 모르는 문자가 나오는 경우 그런 것이 처음 나오는 위치를 출력한다.

풀이방법:

 단순히 문자열을 한자리씩 비교하며 하는 방식이 아니라 비트연산을 사용한 방법을 사용했다. 우선 알파벳별로 정해진 값들은 0 또는 1인 숫자 여섯 개이기 때문에 이를 이진수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입력받은 문자열을 6자리씩 잘라서 XOR 연산을 통해서 찾도록 한다.

 자른 문자열이 alpha에 있다면 바로 더해주고, 없다면 alpha의 key를 순회하면서 XOR 연산값이 1이 있다면 그 key를 잘못 보낸 것이기 때문에 해당 key의 value 값을 더해주도록 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alpha = {"000000""A""001111""B""010011""C""011100""D""100110""E","101001":"F""110101""G""111010""H"}
length = int(input())
secret = input()
answer = ""
for i in range(length):
    parse = secret[6*i:6*(i+1)]
    if alpha.get(parse):
        answer += alpha[parse]
    else:
        tmp = ""
        for alp in alpha.keys():
            check = bin((int(alp,2)^int(parse,2)))
            if check.count("1")==1:
                tmp = alpha[alp]
        if tmp:
            answer += tmp
        else:
            print(i+1)
            break
if len(answer)==length:
    print(answer)
cs

문제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2596

 

2596번: 비밀편지

병현이는 지은이에게 문자 A, B, C, D, E, F, G, H 로 쓰여진 편지를 날마다 보내는데, 컴퓨터로 보내는 비밀편지로, 한 문자마다 0 또는 1인 숫자 여섯 개를 사용하여 보낸다. 둘 사이의 약속은 다음과

www.acmicpc.net

 

728x90
반응형

'Algorithm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 2303. 숫자 게임  (0) 2022.04.21
[BOJ]2635. 수 이어가기  (0) 2022.04.19
[BOJ]2615. 오목  (0) 2022.04.12
[BOJ]2628. 종이자르기  (0) 2022.04.07
[BOJ]9205. 맥주 마시면서 걸어가기  (0) 2022.04.05
728x90
반응형

문제:

오목은 바둑판에 검은 바둑알과 흰 바둑알을 교대로 놓아서 겨루는 게임이다. 바둑판에는 19개의 가로줄과 19개의 세로줄이 그려져 있는데 가로줄은 위에서부터 아래로 1번, 2번, ... ,19번의 번호가 붙고 세로줄은 왼쪽에서부터 오른쪽으로 1번, 2번, ... 19번의 번호가 붙는다.

위의 그림에서와 같이 같은 색의 바둑알이 연속적으로 다섯 알을 놓이면 그 색이 이기게 된다. 여기서 연속적이란 가로, 세로 또는 대각선 방향 모두를 뜻한다. 즉, 위의 그림은 검은색이 이긴 경우이다. 하지만 여섯 알 이상이 연속적으로 놓인 경우에는 이긴 것이 아니다.

입력으로 바둑판의 어떤 상태가 주어졌을 때, 검은색이 이겼는지, 흰색이 이겼는지 또는 아직 승부가 결정되지 않았는지를 판단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단, 검은색과 흰색이 동시에 이기거나 검은색 또는 흰색이 두 군데 이상에서 동시에 이기는 경우는 입력으로 들어오지 않는다.

입력:

19줄에 각 줄마다 19개의 숫자로 표현되는데, 검은 바둑알은 1, 흰 바둑알은 2, 알이 놓이지 않는 자리는 0으로 표시되며, 숫자는 한 칸씩 띄어서 표시된다.

출력:

첫줄에 검은색이 이겼을 경우에는 1을, 흰색이 이겼을 경우에는 2를, 아직 승부가 결정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0을 출력한다. 검은색 또는 흰색이 이겼을 경우에는 둘째 줄에 연속된 다섯 개의 바둑알 중에서 가장 왼쪽에 있는 바둑알(연속된 다섯 개의 바둑알이 세로로 놓인 경우, 그 중 가장 위에 있는 것)의 가로줄 번호와, 세로줄 번호를 순서대로 출력한다.

풀이방법:

 이 문제는 오목인지는 판정한 뒤에 육목에 해당하는지에 판단 여부가 중요한 문제다. 우선 19x19의 모든 점에서 흰돌이나 검은돌이 있다면 오목인지 판정을 시작한다. 오목을 판정하는 방법은 해당 점으로 부터 8 방향으로 움직이며 돌이 연속되는지 판단하도록 한다. 기준점으로부터 연속하여 4개가 더 있다면 우선 오목이라고 판정한다. 그리고 한 번 더 해당 방향으로 이동하고, 처음 기준점에서 움직였던 반대 방향(180도 반대)으로 한 칸씩 움직여서 육목의 여부 판정을 더 수행한다. 정확한 오목이라면 값을 반환하고 저장하도록 한다.

 동시에 이기는 경우는 없기 때문에 값을 가지고 있는 리스트의 인덱스가 정답에 해당하며, 조건에 맞게(가장 왼쪽에 있는 바둑알) 출력하도록 한다. 만약 둘 다 비어 있다면 아직 승부가 결정되지 않은 경우이므로 0을 출력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dx = [0-1-1-10111]
dy = [110-1-1-101]
def check_win(x,y):
    key = board[x][y]
    for i in range(8):
        find = False
        tx,ty = x,y
        for j in range(4):
            nx = tx + dx[i]
            ny = ty + dy[i]
            if 0<= nx < 19 and 0<= ny <19:
                if key==board[nx][ny]:
                    tx, ty = nx, ny
                    find = True
                    continue
                else:
                    find = False
                    break
            else:
                find=False
                break
        if find:
            nx, ny = tx+dx[i], ty+dy[i]
            if 0<=nx<19 and 0<=ny<19:
                if key==board[nx][ny]:
                    continue
            ti = (i+4)%8
            nx, ny = x+dx[ti], y+dy[ti]
            if 0<=nx<19 and 0<=ny<19:
                if key==board[nx][ny]:
                    continue
            return 1
    return 0
 
board = []
for _ in range(19):
    board.append(list(map(int,input().split())))
 
answer = [[],[]]
for i in range(19):
    for j in range(19):
        if board[i][j]:
            if check_win(i,j):
                answer[board[i][j]-1].append((i+1,j+1))
for i in range(2):
    if answer[i]:
        answer_list = sorted(answer[i], key=lambda x: x[1])
        print(i+1)
        print(*answer_list[0])
if not len(answer[0]) and not len(answer[1]):
    print(0)
cs

문제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2615

 

2615번: 오목

오목은 바둑판에 검은 바둑알과 흰 바둑알을 교대로 놓아서 겨루는 게임이다. 바둑판에는 19개의 가로줄과 19개의 세로줄이 그려져 있는데 가로줄은 위에서부터 아래로 1번, 2번, ... ,19번의 번호

www.acmicpc.net

 

728x90
반응형

'Algorithm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2635. 수 이어가기  (0) 2022.04.19
[BOJ]2596. 비밀편지  (0) 2022.04.14
[BOJ]2628. 종이자르기  (0) 2022.04.07
[BOJ]9205. 맥주 마시면서 걸어가기  (0) 2022.04.05
[BOJ]1439. 뒤집기  (0) 2022.03.31
728x90
반응형

문제:

아래 <그림 1>과 같이 직사각형 모양의 종이가 있다. 이 종이는 가로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1㎝마다 점선이 그어져 있다. 가로 점선은 위에서 아래로 1번부터 차례로 번호가 붙어 있고, 세로 점선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번호가 붙어 있다.

<그림 1>

점선을 따라 이 종이를 칼로 자르려고 한다. 가로 점선을 따라 자르는 경우는 종이의 왼쪽 끝에서 오른쪽 끝까지, 세로 점선인 경우는 위쪽 끝에서 아래쪽 끝까지 한 번에 자른다. 예를 들어, <그림 1>의 가로 길이 10㎝이고 세로 길이 8㎝인 종이를 3번 가로 점선, 4번 세로 점선, 그리고 2번 가로 점선을 따라 자르면 <그림 2>와 같이 여러 개의 종이 조각으로 나뉘게 된다. 이때 가장 큰 종이 조각의 넓이는 30㎠이다.

<그림 2>

입력으로 종이의 가로 세로 길이, 그리고 잘라야할 점선들이 주어질 때, 가장 큰 종이 조각의 넓이가 몇 ㎠인지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줄에는 종이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차례로 자연수로 주어진다. 가로와 세로의 길이는 최대 100㎝이다. 둘째 줄에는 칼로 잘라야하는 점선의 개수가 주어진다. 셋째 줄부터 마지막 줄까지 한 줄에 점선이 하나씩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입력된다. 가로로 자르는 점선은 0과 점선 번호가 차례로 주어지고, 세로로 자르는 점선은 1과 점선 번호가 주어진다. 입력되는 두 숫자 사이에는 빈 칸이 하나씩 있다.

출력:

첫째 줄에 가장 큰 종이 조각의 넓이를 출력한다. 단, 넓이의 단위는 출력하지 않는다.

풀이방법:

 입력으로 받은 잘라야 하는 순서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뒤, 이전 값과의 차이를 구하며 모든 종이 조각의 넓이를 구하고 가장 큰 종이 조각을 출력하면 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width, height = map(int, input().split())
= int(input())
horizon, vertical = [], []
for _ in range(n):
    com, pos = map(int,input().split())
    if com==0:
        horizon.append(pos)
    else:
        vertical.append(pos)
horizon.sort()
vertical.sort()
horizon.append(height)
vertical.append(width)
answer = 0 
for i, h in enumerate(horizon):
    if i==0:
        h_diff = h
    else:
        h_diff = h - horizon[i-1]
    for j, v in enumerate(vertical):
        if j==0:
            v_diff = v
        else:
            v_diff = v - vertical[j-1]
        answer = max(answer, h_diff*v_diff)
print(answer)
cs

문제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2628

 

2628번: 종이자르기

첫줄에는 종이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차례로 자연수로 주어진다. 가로와 세로의 길이는 최대 100㎝이다. 둘째 줄에는 칼로 잘라야하는 점선의 개수가 주어진다. 셋째 줄부터 마지막 줄까지 한

www.acmicpc.net

 

728x90
반응형

'Algorithm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2596. 비밀편지  (0) 2022.04.14
[BOJ]2615. 오목  (0) 2022.04.12
[BOJ]9205. 맥주 마시면서 걸어가기  (0) 2022.04.05
[BOJ]1439. 뒤집기  (0) 2022.03.31
[BOJ]2023. 신기한 소수  (0) 2022.03.29
728x90
반응형

문제:

송도에 사는 상근이와 친구들은 송도에서 열리는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에 가려고 한다. 올해는 맥주를 마시면서 걸어가기로 했다. 출발은 상근이네 집에서 하고, 맥주 한 박스를 들고 출발한다. 맥주 한 박스에는 맥주가 20개 들어있다. 목이 마르면 안되기 때문에 50미터에 한 병씩 마시려고 한다. 즉, 50미터를 가려면 그 직전에 맥주 한 병을 마셔야 한다.

상근이의 집에서 페스티벌이 열리는 곳은 매우 먼 거리이다. 따라서, 맥주를 더 구매해야 할 수도 있다. 미리 인터넷으로 조사를 해보니 다행히도 맥주를 파는 편의점이 있다. 편의점에 들렸을 때, 빈 병은 버리고 새 맥주 병을 살 수 있다. 하지만, 박스에 들어있는 맥주는 20병을 넘을 수 없다. 편의점을 나선 직후에도 50미터를 가기 전에 맥주 한 병을 마셔야 한다.

편의점, 상근이네 집,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의 좌표가 주어진다. 상근이와 친구들이 행복하게 페스티벌에 도착할 수 있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t ≤ 50)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째 줄에는 맥주를 파는 편의점의 개수 n이 주어진다. (0 ≤ n ≤ 100).

다음 n+2개 줄에는 상근이네 집, 편의점,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 좌표가 주어진다. 각 좌표는 두 정수 x와 y로 이루어져 있다. (두 값 모두 미터, -32768 ≤ x, y ≤ 32767)

송도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생긴 도시이다. 두 좌표 사이의 거리는 x 좌표의 차이 + y 좌표의 차이 이다. (맨해튼 거리)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서 상근이와 친구들이 행복하게 페스티벌에 갈 수 있으면 "happy", 중간에 맥주가 바닥나서 더 이동할 수 없으면 "sad"를 출력한다. 

풀이방법:

 맥주 한 박스에는 맥주가 20개 들어있고, 편의점에서 이를 채울 수 있다. 편의점에 도달하면 무조건 맥주를 가득 채우는 것이 이득이므로, 최대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는 1000미터다. 따라서 현재 있는 위치로부터 1000미터 이내에 편의점이 있거나 페스티벌을 하는 장소가 있는지 찾으면 된다. 

 따라서 페스티벌을 하는 장소에 도달하는지의 여부를 찾으면 되기 때문에 1000미터 이내에 도달할 수 있는 장소를 모두 저장하며 탐색하는 BFS 방법을 사용하도록 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nput = sys.stdin.readline
 
def bfs(start):
    x, y = start
    q = deque([(x,y)])
    while q:
        x, y = q.popleft()
        if (x,y) == (fx, fy):
            print("happy")
            return
        for i, v in enumerate(conven):
            if not visited[i]:
                nx, ny = v
                dist = abs(nx-x) + abs(ny-y)
                if 1000 >= dist:
                    q.append((nx,ny))
                    visited[i] = 1
    print("sad")
    return         
 
= int(input())
for _ in range(t):
    conven = []
    n = int(input())
    house = map(int,input().split())
    for _ in range(n):
        x, y = map(int, input().split())
        conven.append((x,y))
    fx, fy = map(int,input().split())
    conven.append((fx,fy))
    visited = [0]*len(conven)
    bfs(house)
cs

문제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9205

 

9205번: 맥주 마시면서 걸어가기

송도에 사는 상근이와 친구들은 송도에서 열리는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에 가려고 한다. 올해는 맥주를 마시면서 걸어가기로 했다. 출발은 상근이네 집에서 하고, 맥주 한 박스를 들고 출발한다.

www.acmicpc.net

 

728x90
반응형

'Algorithm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2615. 오목  (0) 2022.04.12
[BOJ]2628. 종이자르기  (0) 2022.04.07
[BOJ]1439. 뒤집기  (0) 2022.03.31
[BOJ]2023. 신기한 소수  (0) 2022.03.29
[BOJ]1052. 물병  (0) 2022.03.24

+ Recent posts